티스토리 뷰
목차
사례와 수치가 생생하게 드러난 서울 아파트 직거래 증가 현상은 매우 의미심장합니다. 서울 주요 자치구에서 직거래 비중이 눈에 띄게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주목됩니다. 매일경제 분석 결과, 직거래 사례가 6월 대비 7월에 뚜렷하게 상승한 점이 특히 흥미롭습니다.
“그냥 중개인 빼고 진행하시죠”...서울 아파트, 대출규제후 ‘직거래’ 늘었다는데 - 매일경제
7월 서울 아파트 직거래 비중 ‘쑥’ 강남권 중심서 마포 성동 등 확대 시세보다 낮게 거래...절세 목적
www.mk.co.kr
직거래 비중 급등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거래 중 직거래 비중은 6월 2.4%에서 7월 4%로 급증하였다. 이는 비교적 단기간에 거래 구조가 변화했음을 의미한다.
특히 강남구는 1.6%에서 6.7%, 성동구와 마포구도 각각 6.7%와 4.0%로 상승하며 서울 전역에서 직거래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다수 자치구에서 직거래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은 절세 목적의 증여성 직거래 수요가 증가한 데에서 기인한다.
중개수를 아예 없애 수수료를 절감하고, 정상 거래보다 낮은 가격으로 거래하더라도 법적 증여 혜택을 인정받는 점이 증여성 거래를 부추긴다는 분석이다.
증여성 거래 영향
기사에서는 직거래 방식이 주로 부모와 자녀 같은 특수관계인 간 거래에서 발생한다고 짚었다.
현행법상 가족 간 거래는 정상 실거래가 대비 최대 30%까지 저렴하게 거래해도 최대 3억원 한도 내에서는 정상거래로 인정된다.
이 특징 때문에 증여나 상속을 염두에 둔 거래자들이 중개사 없이 직거래를 선택하는 경향이 커졌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거래 흐름이 대출규제 이후 매수심리 위축 상황에서 투자자뿐 아니라 실수요자 일부도 절세와 주거 안정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한강변 인기지역 확대
서울 내 강남 3구뿐 아니라 한강 벨트 지역인 마포구, 성동구, 동작구 등에서도 직거래 비중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예컨대 성동구는 1.6%에서 6.7%로, 동작구는 0.7%에서 4.9%로 상승하며 전 지역적으로 직거래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 송파구 올림픽선수촌 아파트 전용 135㎡ 사례에서는 32억 원에 직거래된 반면, 중개거래 시 약 1억 2천만 원 더 비쌌던 사례도 보고되었다.
🔎 요약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직거래 비율은 대출규제 이후 단기간에 크게 확대되었고, 특히 절세 목적의 증여성 직거래가 중심에 있으며, 강남 중심 기존 거래 지역을 넘어 한강변 주요 자치구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향후 주택 고객 구성 및 거래 방식이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7부동산대책: 6월 27일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주요 FAQ 정리 (0) | 2025.06.27 |
---|---|
부동산 세금 완벽 가이드: 취득부터 상속까지 모든 것을 파헤치다! (0)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