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서울시의 재개발 재건축 현황은 어떠할까?

by 부자대유 2025. 5. 9.
반응형

 

올림픽파크포레온 재개발현장 사진
올림픽파크포레온 재개발현장

 

서울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도시입니다. 그 변화의 중심에는 재개발과 재건축이 있죠.

낡은 주택과 기반 시설을 정비하고 새로운 주거 공간과 도시 기능을 확충하는 이 사업들은 서울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동력입니다2025년 현재, 서울시의 재개발 및 재건축 현황은 어떠할까요

 

1.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사업의 중요성

서울은 인구 밀도가 높고, 노후 건축물이 많은 도시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개발과 재건축은 단순히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넘어,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주택 공급 확대: 서울의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

도시 기능 회복: 낙후된 지역의 기반 시설을 개선하고, 새로운 상업 및 업무 공간을 조성하여 도시의 활력을 불어넣습니다.

경제 활성화: 건설 경기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2025년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현황

20253월 기준, 서울시에서는 총 690개의 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는 재개발 247, 재건축 165, 소규모 정비 278곳을 포함하는 수치입니다. 특히, 2024년부터 20253월까지 신규 구역으로 지정된 사업은 30곳이며, 이 중 9곳은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지정되었습니다.

 

2.1 자치구별 현황

정비사업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 중인 자치구는 성북구(51구역)이며, 서초구(47구역)와 영등포구(41구역), 송파구(40구역)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소규모 정비사업만 놓고 보면 성북구(29구역), 중랑구(27구역), 강동구(22구역), 강북구(20구역) 순으로 사업이 많습니다.

 

2.2 단계별 현황

  • 신규 구역 지정: 2024년 이후 30개 구역이 지정되었습니다.
  • 관리처분인가 완료: 126개 구역이 관리처분인가를 완료했으며, 이 중 67곳은 공사 중입니다.
  • 착공 준비: 59개 구역은 관리처분인가 후 착공을 준비 중이며, 이 중 26곳은 이주가 완료되어 착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2.3 주요 재개발 재건축 지역 분석

  • 강남구: 압구정 재건축 단지의 사업 진행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서초구: 분양 시장 중심으로 주택 가격이 크게 상승했으며, 여전히 매도자 우위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 송파구: 재건축 사업이 탄력을 받으며 시장 관심이 증가했고,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강북구/노원구: 공사비 상승으로 사업성이 낮아 정비사업의 활로가 막혔으나, 최근 서울시의 역세권 용적률 완화 정책으로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로 서울시는 지난 3월에 아파트 실거래가의 급등하는 것을 막기 위해 2025년 9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강남3구와 용산구의 아파트에 대하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을 하였습니다.

 

3. 서울시의 정책 변화

서울시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3.1 규제 완화

용적률 인센티브: 역세권, 공공시설 연계 등 특정 조건 충족 시 용적률을 완화하여 사업성을 높입니다.

높이 제한 완화: 경관지구, 고도지구 등 높이 제한을 완화하여 건축물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토지 이용 효율성을 높입니다.

공공기여 완화: 공공기여 비율을 낮추거나, 공공시설의 종류를 다양화하여 사업자의 부담을 줄입니다.

안전진단 기준 완화: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을 완화하여 사업 추진 문턱을 낮춥니다.

3.2 행정 지원 강화

신속통합기획: 정비계획 수립 기간을 단축하고, 사업 초기 단계부터 공공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업의 불확실성을 줄입니다.

  • 통합심의: 건축, 도시, 경관 등 관련 심의를 통합하여 사업 기간을 단축합니다.
  • 사업비 지원: 사업 초기 비용 융자, 세제 혜택 등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 정보 공개: 정비사업 추진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민 참여를 확대합니다. 서울시는 6개월마다 재개발·재건축 추진 현황을 공개하여 시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정비사업 정보몽땅"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엑셀 파일 형태로도 제공됩니다.

3.3 그 외 정책

  • 공공 재개발: LH, SH 등 공공기관이 주도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용적률 완화,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 모아타운: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지역에서 소규모 주택 정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 역세권 활성화 사업: 역 주변 지역의 용도지역을 상향하고, 주택 공급과 상업·업무 기능을 확충하는 사업입니다.

 

4. 투자 시 유의사항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며, 사업 진행 과정에서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사업성 분석: 사업의 경제성, 수익성 등을 면밀히 분석하고, 추가 분담금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추진 단계 확인: 사업의 진행 단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각 단계별 위험 요인을 인지해야 합니다.
  • 조합의 투명성: 조합 운영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비리 발생 가능성을 경계해야 합니다.
  • 정책 변화: 정부 및 서울시의 정책 변화가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해야 합니다.

 

5. 결론

서울시의 재개발 재건축 사업은 도시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2025년 현재, 다양한 정책 변화와 함께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이는 주택 공급 확대, 도시 기능 회복,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투자 시에는 사업성과 위험 요인을 꼼꼼히 확인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이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성공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